한반도는 지난 100년간 세계평균보다 2배나 빠른 1.5℃의 기온상승으로 병해충 돌발, 재해성 기상이변 급증 등 농업생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기후변화에 대응한 전략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기후변화과 대응해 농업부문은 저탄소 녹색농업을 선도하고 이를 위해 저탄소 농업기술개발보급으로 온실가스 저감정책을 지원해 나가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농촌진흥청이 지난 9일 서울 여의도 63빌딩 국제회의장에 개최한 ‘농업부문 기후변화 대응전략 국제심포지엄’에서 이종기 농진청 연구정책국장은 ‘기후변화대응 국내 농업분야 연구전략’을 통해 이 같이 밝히고 “농진청은 농업분야 R&D연구체계를 대대적으로 개편해 기후변화대응 미래농업기술 개발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국장은 이날 농진청의 기후변화대응 연구전략 기본방향은 △저탄소 농업기술 개발보급으로 국가 온실가스 저감정책 지원 △신품종, 대체작목, 에너지 저투입 농법 등 온난화 대응연구 강화 △병충해, 기상재해, 품질·수량저하 등 피해예방 최소화 등이다. 이 국장은 또 “온실가스 저배출 영농기술과 흡수원을 개발해 보급한다면 농업부문의 온실가스를 2020년까지 연평균 0.6%씩 감축 가능하다”며“적응기술로 기후변화 악 영향을 최소화해 저탄소 녹색성장이 가능할 것”이라고 피력했다. 이날 국제심포지엄에서는 FAO, OECD 등의 국제기구는 물론 미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태국, 인도의 경종분야와 축산분야 전문가가 참여했을 뿐 아니라 정부, 학계, 농업인단체 등도 참여해 기후변화 대응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