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 농업인들은 전국에 몰아닥친 구제역과 여름철 집중호우로 인해 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특히 오랜 진통 끝에 한·미FTA 비준 동의안이 국회에서 가결되었습니다. 또한 농협 사업구조개편을 위한 농협법도 개정되어 신용사업과 경제사업이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되었습니다. 다사다난했던 신묘년을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는 우리 농업과 농촌을 둘러싼 국내외 환경은 그리 좋지 않습니다. EU, 미국과의 FTA 체결에 이어 한·중·일 FTA 체결논의도 본격화 되어 날로 개방화의 폭이 넓어질 전망입니다. 특히 3월 2일부터 농협 신경분리가 시작되면 중앙회와 일선 조합의 변화가 일어나고, 4월 11일 국회의원 선거 후에 본격적인 대선행보가 시작되면 무수한 정책이 쏟아져 나올 것입니다. 매년 이어지는 이상기후로 농산물 수급불균형의 위험이 더욱 커질 전망입니다. 올해는 임진왜란이 일어난 지 420년이 되는 해입니다. 임진년에 조선의 훈구파 정권이 붕괴되고 사림파 정권이 들어서면서 혼란기를 틈타 일본군이 우리나라를 침략했지만 한산대첩 등 해전에서 이순신 장군은 연전연승했습니다. 이처럼 이순신 장군이 바다에서 일본군을 물리칠 수 있었던 원인은 한결같은 나라 사랑 마음과 철저한 준비, 최고의 기술로 무장한 거북선을 유용하게 잘 사용했기 때문입니다. 우리 농업도 이순신 장군 같은 굳은 각오와 철저한 준비, 탁월한 기술, 경영전략을 가진 역량있는 농업인을 육성하여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 가야 합니다. 경쟁력이 약한 영세고령 농가를 지원할 수 있는 복지정책과 농어촌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정책도 정비해야 됩니다. 격랑의 한 해가 될 2012년, 서로 가슴을 열어 머리를 맞대고 지혜를 모으면 우리 농업과 농촌이 희망을 찾고 밝은 미래를 향해 나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 연구원 역시 산적한 농정문제의 해결을 위해 미래지향적으로 조직을 정비하고, 인력을 재편하여 능동적·선제적으로 대책을 강구하여 국책연구기관으로써 책임을 다하겠습니다. 객관적인 사실에 근거한 논의의 장을 마련하여 농정을 둘러싼 갈등을 최소화하고, 국민들에게 농업·농촌의 소중한 가치를 알리는 노력도 게을리 하지 않겠습니다. 아무쪼록 여러분들의 변함없는 관심과 격려를 당부 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