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은 2011년 소농 구조인 우리 농업의 현실을 감안해 가족농 중심의 소규모 경영체에 대한 새로운 한국적 해법인 ‘강소농(强小農) 육성사업’을 본격 추진하였습니다. 그 결과로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選’에 청 개발기술 10건이 선정돼 2010년에 이어 2년 연속으로 국가 연구기관 중 1위를 차지했습니다. 농진청은 우리농업의 경쟁력 향상과 농촌 활력화를 위해 2012년 농촌진흥사업 4대 추진방향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첫째, FTA 등 시장개방에 대응해 기술농업을 통한 농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분야별 기술 개발에 혼신의 힘을 다하겠습니다. 품목별 우수품종 육성, 상품성 향상, 수급안정을 위해 축산물은 육질 고급화와 번식효율 개선에, 원예·특용작물은 로열티 경감과 수출품종 육성 및 도시농업 확산에, 쌀은 생산조정 지원과 가공식품 개발에, 밭작물은 기계화율 제고와 기능성 구명을 통한 소비확대에 중점을 두겠고 에너지·조사료·농자재 절감기술 개발 등 생산비 절감을 위한 기술 개발에도 힘써 시장개방 극복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또한 농업생명공학기술 실용화 및 종자·식품산업 지원에 노력하겠고, 지속 가능한 생명농업 실천을 위한 유기농업기술 확산과 안전 농축산물 생산기술 개발 및 농자재 관리에도 철저를 기하겠습니다. 둘째, 농업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기후변화 등 위기요인에 대한 대응기술 개발과 농작업 환경개선 및 재해예방기술 개발, 취약계층에 대한 삶의 질 향상 프로그램 운영으로 농업인 생활안정에 노력하겠습니다. 셋째, 농업소득 양극화 해소와 농촌 중산층의 잠재성장력 회복 등 농촌 활력화와 동반성장을 위한 기술보급을 추진하겠습니다. 특히 2011년에 구축된 강소농 육성기반을 발판으로 농업소득 10% 증대를 목표로 지역별·농가별 맞춤형 컨설팅을 3만5000여 농가로 확대하고 농업인과 중소상공인의 기술과 노하우를 접목한 농공상 융합형 창업 지원으로 지역경제를 활성화 시키는 ‘강소농-중소기업 동반성장’의 새로운 모델을 확산시키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