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의 아이들이 부모와 가족을 떠나 농어촌 농가에서 6개월 이상 생활하면서 농어촌 학교를 다니고 마을주민들과 함께 시골생활을 체험하는 ‘농어촌 유학’사업이 주목받고 있다. 농림수산식품부에 따르면 2006년부터 시작된 농어촌 유학은 참여 학생들이 꾸준히 늘어나 매년 1.5∼2배의 양적 성장을 나타내고 있다. 2010년 기준으로 전국의 농어촌 유학시설은 24개소, 농어촌 유학생은 302명, 유학 운영자는 87명에 이르고 있다. 농식품부는 농어촌 유학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2010년부터 시범사업으로 매년 3~5곳의 농어촌 유학센터를 선정해 유학 프로그램 개발과 유학 활동가 교육 및 센터 운영비 등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농어촌 유학 추진결과 학생수 부족으로 폐교 위기에 처해있던 시골 마을의 학교에 도시아이들이 유학 오면서 ▲강원 양양군 서면 공수전리 상평초교 공수전분교 ▲충북 단양군 가곡면 어의곡리 가곡초교 대곡분교 등이 폐교대상에서 제외되거나 본교로 승격을 준비하고 있다. 젊은 귀농인이 농어촌에 정착하는 사례도 생겨나고 있다. 농식품부는 농어촌 유학 관련 기관·단체간 이해도 제고 및 협력체계 구축을 모색하기 위해 교과부·교육청·지자체·농어촌유학활동가·학부모 등 120여명을 대상으로 충남 천안 상록리조트에서 17~18일 이틀간 ‘농어촌유학 활성화 워크숍’을 개최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