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링거인겔하임 동물약품(주)는 지난달 26일 대전 유성 레전드호텔에서 ‘2011 PRRS College’를 개최했다. 김원일 전북대 교수는 이날 ‘현장에 필요한 PRRS 바이러스 면역과 진단’ 발표를 통해 “PRRS 바이러스가 양돈산업에 가장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으며 현재도 계속 변이되고 있다”면서 농장에서 PRRS 백신 사용에 대한 주의점 등을 소개했다. 김 교수는 “PRRS 예방에는 야외 바이러스의 추가 유입을 방지하고 음성 정액 및 후보돈 도입에 있어 철저한 방역이 가장 중요하다”며 “농장에서 분리된 후보돈 격리 돈사를 설치하고 정액은 PRRS 음성이 인증된 업체에서 구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진선 발라드동물병원 원장은 PRRS 컨트롤 사례 발표를 통해 PRRS 유입 경로로 출하대를 농장 외부에 설치할 것을 강조했다. 출하차량에 의해 전파되는 경우가 많다. PED도 동시에 차단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