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선 농산물의 식중독균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현대판 임금님 은수저가 개발됐다. 농촌진흥청은 인공 유전자인 PNA(Peptide Nucleic Acid)칩을 이용해 신선 농산물에 오염 가능한 주요 식중독균 6종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술은 식중독균을 감지할 수 있는 유전정보를 PNA를 이용해 손가락만한 유리판 위에 심어 칩을 만들고 농산물에서 분리한 세균을 증식한 뒤 유전자를 증폭한 다음 이 PNA칩에 반응시켜 식중독균을 진단하게 된다. 이 식중독균 진단용 PNA칩을 이용하면 O-157, 살모넬라, 황색포도상구균, 바실러스, 여시니아, 리스테리아 등 6종의 주요 식중독균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식중독균 검출을 위해서는 10만 마리 정도의 세균이 필요했지만, 이 기술은 식중독균의 증식 및 유전자 증폭을 통해 100마리만 있어도 진단이 가능하다. 진단 시간도 기존 방법은 식품에서 세균을 추출하고 배양․증식해 확인하는데 까지 통상 3~10일 정도 걸리지만, 이 기술은 농산물에서 분리한 세균을 증식하고 유전자를 증폭해 PNA칩으로 확인하는데 10시간이면 충분하다. 특히 대형마트 등에서 간단한 몇 가지 장비만 갖추면 손쉽게 진단할 수 있다. 신선 농산물을 지퍼백에 담아 초음파세척기(Sonicator)로 세균을 분리한 뒤 6시간 정도 증식시키고, 유전자 증폭기(PCR)를 이용해 3시간 정도 유전자를 증폭시킨 다음 PNA칩에 반응시켜 스캐너로 확인하면 된다. 농진청은 이번 PNA칩을 이용한 신선 농산물 식중독균 진단기술에 대해 지난달 15일 특허출원을 했으며, 앞으로 대형마트 등을 대상으로 워크숍을 개최해 유통업체 기술이전을 추진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