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수산식품부는 최근 2006년에 설정한 ‘2015년 곡물 및 주식자급률 목표치’를 대폭 수정해 ‘2020년 목표치’는 새로 설정했다고 밝혔다. 이 목표치에 따르면 2015년 기준 곡물자급률 목표치는 25%에 5% 포인트 상향 조정해 30%로 정하고 2020년 목표치는 이보다 2%포인트 더 올려 32%로 설정했다. 농식품부는 이 목표치 달성을 위해 2020년까지 10조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
농식품부는 또 곡물자급률을 식용(가공용 포함), 사료용 등 2가지로 구분하고 건초 등과 같은 보조사료를 포함한 목표치도 새로 설정했다. 곡물자급률에서 사료·공업용을 제외한 식량자급률의 목표치는 2015년 60%, 2020년 65%로 각각 설정했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식량자급률은 54.9%에 달했지만 쌀만 104.6%로 자급이 가능했을 뿐 밀(1.7%)·옥수수(3.8%)·보리(27.8%)·콩(31.7%) 등 주요 곡물은 평균 10.6%에 불과해 해외의존도가 높다. |
농식품부는 식량자급률 제고를 위해 내년부터 2020년까지 10조원 정도의 예산을 투입할 계획이다. 대부분 농작업 기계화, 시설 현대화, 품종개발 및 보급, 주산단지 조성 등 생산기반 정비를 통해 식량자급률 제고와 직결된 사업들에 지원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