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제조업체의 평균 ‘수명’이 꾸준히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한국 중소기업의 진로와 과제’ 보고서 발표를 통해 2009년 중소제조업의 평균 수명이 12.3년으로 2004년 9.6년보다 2.7년 늘어났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대기업의 평균 수명은 27.5년에서 29.1년으로 1.6년 늘어났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지나간 2008~2009년 중소제조업의 평균수명이 11.6년에서 12.3년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생존경쟁력이 강화된 것으로 평가됐다. 또 기업의 성장단계를 진입기→성장기→성숙기→쇠퇴기로 봤을 때 성장기 중소제조업 비중은 46.8%(2006년)에서 48.4%(2009년)로 증가했으나 쇠퇴기 기업 비중은 11.7%에서 5.9%로 낮아졌다. 이 같이 중소제조업체의 생존력이 강화됐음에도 수익률, 생산성, 기술수준은 여전히 취약한 것으로 분석됐다. 국내 공공조달시장에 저가의 중국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2008년 0.06%, 2009년 0.6%, 2010년 4.2%로 급격히 늘어나는 데다 중소기업 수출이 총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42.9%(2001년)에서 32.2%(2009년)으로 10년 동안 10% 가량 낮아졌다. 대한상의는 국내 중소기업이 장수하기 위해 품질제고, 원가절감, 납기준수, 기술개발, 기업승계계획 수립, 경영후계자 양성 등을 제시했다. 또 해외진출, 기술개발, 경영구도 구상 등이 뒷받침 돼야 장수기업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