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3.5%에서 0.4%포인트 상승한 3.9%로 수정했다.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4.5%로 유지했다. 다만 하반기 성장률 전망치는 종전 5.0%에서 4.9%로 낮추고 실업률은 3.5%에서 3.6%로 0.1%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한은은 최근 ‘2011년 경제전망(수정)’ 발표를 통해 유가 상승과 구제역 등 공급 측면 상승 요인을 반영해 물가상승률을 이같이 상향 조정하고 올해 국내총생산(GDP)은 지난해 12월 발표했던 대로 4.5%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경제전망 수정치에 따르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은 4.5%로 국제통화기금(IMF)의 전망치와 같지만 정부의 경제운용 목표인 5% 내외나 아시아개발은행(ADB)의 전망치 4.6%보다 낮다. 상반기 성장률 전망치는 종전 3.8%에서 4.0%로 올렸으나 하반기 성장률 전망치는 5.0%에서 4.9%로 하향 조정됐다. 분기별로는 1분기에 전분기 대비 1.5% 성장한 뒤 2분기 1.0%로 낮아지지만 3, 4분기는 1.3%와 1.4%로 꾸준히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한은은 올해 미국 경제성장률이 3.0%로 0.6% 상향조정되고 세계 교역 신장률도 0.3% 확대된 7.0%로 높아지겠지만 원유도입단가가 배럴당 105달러로 종전 예상치보다 18달러 상승하고 구제역 사태에 따른 부정적 영향으로 긍정적 효과를 상쇄할 것으로 보고 있다. 내년, 세계경제 회복 4.8% 성장 한은은 이와 함께 2012년 경제전망도 내놓았다.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4.8%로 종전 4.7%보다 소폭 상향했다. 특히 상품 수출은 세계경제의 지속적인 회복세로 활기를 이어 11.2% 증가하고 설비투자는 자동차와 IT 등 주력 업종을 중심으로 6.9%의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 했다. 또 건설투자도 주택건설 증가로 1.5%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민간소비는 물가상승에 따른 구매력 저하 등으로 증가폭이 축소될 것으로 전망해 4.1%에서 3.5%로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다. 이와 함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유가 상승과 구제역 등 공급 측면 상승 요인을 반영해 3.9%로 종전보다 0.4% 높게 예상했다. 앞서 IMF는 한국의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1.1% 상향한 4.5%로 전망했다. 한은은 또 근원 인플레이션율을 3.3%로 종전 전망치보다 0.2% 상향 수정해 물가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해 수요 압력을 짐작해 볼 수 있는 근원 인플레이션율은 상반기 3.1%에서 하반기 3.6%로 상승하면서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같아진 뒤 내년에는 연간 3.6%를 기록, 소비자물가 상승률 3.4%를 웃돌아 물가 상승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것이다. 경상수지 흑자규모는 종전 180억달러보다 줄인 110억달러로 예상했다. 상품수지는 세계교역에 힘입어 흑자를 지속하겠지만 흑자폭은 유가 급등으로 축소될 것으로 내다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