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관리자 기자 2011.04.04 18:00:28
흔히 지진의 크기를 말할 때 리히터 척도(Richter Scale)를 사용한다. 이는 1935년 미국의 지질학자인 리히터(C. Richter)가 지진의 크기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한 이후 그의 이름을 따서 사용하고 있는 척도이다. 이 지수는 지진파의 진폭, 주기, 진앙 등에 관련된 자료를 이용하여 산출되는데, 간단히 말하면 규모 1.0의 강도는 60ton의 폭약(TNT)에 해당된다. 규모가 1.0씩 증가하게 되면 에너지는 30배씩 증가하게 된다. 금번(2011년 3월 11일) 일본 혼슈 센다이 동북 179Km지점에서 발생한 지진은 리히터 규모 9.0의 지진으로 최종 정리되었으니 그 위력을 가늠하기 어렵다. 세계적으로 지금까지 계측된 규모 8.0이상의 지진은 총 72회 정도이다. 이 가운데 칠레, 일본, 페루가 각각 8회로 가장 많다. 규모 9이상 총 8회 가운데 칠레와 일본이 각각 2회씩이다. 환태평양국가들에 자주 큰 지진이 발생하는 이유는 주로 판 구조론에 근거한다. 이론에 의하면 지구 외곽부(80~100Km)는 7개의 커다란 판과 수개의 작은 판으로 되어있고 이들 판이 움직이거나 부딪히면서 지진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환태평양지진대에는 태평양판이 주변 인도,호주판, 필립핀판, 북아메리카판, 코코스판, 나스카판 등과 연해있으며 활동자체가 활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진과 해일에 의한 일본 원자력발전소의 격납용기 손상, 폐연료봉의 노출, 방사선물질의 확산은 방사능 공포를 야기하고 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원자력 사고의 등급을 0(안전 이상무)에서 7(대형사고, major accident)까지로 구분하고 있다. 미국 스리마일랜드 사고(1979년)는 등급 5, 1986년 체르노빌 사고(우크라이나)는 등급7의 사고로 표시한다. 지금 일본의 경우는 등급 6으로 보고 있다. 일부에서는 체르노빌 사고수준에 근접했다고 보고 있다. 요오드와 세슘, 코발트 등의 물질에 이어 핵분열 시 나오는 텔루륨과 루테늄 등 방사선물질이 3호기 주변에서 검출되고 있다면 이는 핵분열이 있다는 것이고 그럴 경우 상상하기 어려운 재해가 있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우리도 지진, 원자력 사고와 무관한 나라가 아니다. 5~6정도의 지진은 있어왔지만 가옥이 전파되고 교량이 파괴되는 정도의 리히터 7이상 규모의 지진은 없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상대적으로 안전한 지대에 속해 있다. 하지만 최근 제35회 과총포럼에서 한국지질자원 연구원의 지헌철박사는, 가능성이 많지는 않지만, 7.0이상 규모의 지진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하였다. 준비를 해야 한다는 것인데 특히 원자력발전에 의존하는 우리로서는 여러모로 염려가 된다. 우리나라는 전체 발전의 31.5%를 원자력에 의존(세계 14%, 2008)하고 있다. 2024년에는 48%대로 올라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미국과 프랑스, 러시아와 일본 다음으로 많은 원전을 보유하고 있다. 높은 위험성만큼 경제성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이고 달리 대체에너지원이 없기 때문이다. 올해 2월 지경부에서 발표한 원전발전단가를 보면 39.1원/Kwh로서 석유(184.6원), LNG(128.0원), 유연탄(60.8원)에 비해 매우 낮다. 대체에너지인 태양광전지(608원), 풍력(198원), 수력(157원) 등과도 비교가 되지 않는다. 지구온난화 관련 CO₂ 발생량 역시 10g/Kwh로 석탄(991g), 석유(782g), 천연가스(549g) 보다 월등히 적다. 원전을 외면하기 어려운 이유들이다. 지진, 쓰나미와 원자력발전소 파괴로 인한 일본의 대재앙과 우리의 현실, 그리고 일본인들의 대응을 보면서 몇 가지 사회적 교훈으로 받아들였으면 하는 점이 있다. 첫째, 향후 지진에 대한 대비책을 강구해야한다. 몇몇 기관에서 강진에 따른 패해 예상을 봐도 그 피해규모가 적지 않다. 각종 건물과 시설, 지진 대피프로그램을 정비해서 자연재난에 대비해야한다. 둘째,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할 수 있는 모든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진도 6.5에도 견딜 수 있다고 호언할 게 아니라 원자력 안전기술 세계 일등 국가를 자랑하던 일본이 경험하고 있는 자만의 결과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안전성을 위한 그 어떠한 노력도 불필요하다거나 비경제적이지 않다. 셋째, 국가 기간산업을 시장에 맡기는 것은 위험하다. 공기업의 민영화는 그만큼 문제발생시 폐해가 크다. 기업이익에 우선하여 사회적 이익을 기업이 고려하리라는 기대는 시작부터 잘못된 판단이다. 넷째, 참으로 놀랄만한 피해 일본인들의 침착함이다. 저들의 가치관과 대응행동을 통해 국가와 사회에 대한 믿음이 저리도 크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고 있다. 우리의 사회지도층들에 대한 서민들의 신뢰는 어느 정도인지. 부끄러움을 느끼는 지도자들이 많은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다. 마지막으로 국가대사에서 사실을 은폐하거나 왜곡해서는 안 된다. 침착한 국민에 비해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의 대응, 사실 확인 등은 매우 미숙하였다. 특히 외부의 지원조차 거부한 자만과 숨기려는 자세는 응당 책임져야할 부분이다. 아직도 지속되고 있는 일본 대재앙이 하루 속히 끝나길 바란다. 더하여 일본의 대재앙이 절대 우리나라에서 일어나지 않도록 대비해야 한다. 자만과 눈속임은 언젠가는 재앙으로 올 수도 있기 때문이다. 유비무환(有備無患)은 언제나 진리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