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까지 10만개의 강소농(强小農)이 육성된다. 농촌진흥청은 지난달 30일 농진청은 올해 1만5000개를 비롯해 매년 2만개의 농업경영체를 강소농으로 육성해 2015년까지 10만개의 강소농을 육성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강소농 육성 계획’을 발표했다. 강소농은 ‘작지만 강한 농업경영체’란 뜻으로 농업을 단순 식품생산 기능에서 1~3차 고부가가치 융복합산업으로 탈바꿈시키는 사업이다. 특히 영농규모가 1ha 미만인 소농이 전체 농업경영체의 76.7%를 차지하는 상황에서 규모의 한계를 극복할 대안으로 강소농 육성정책이 마련됐다. 강소농 육성 계획에 따르면 농업경영체들이 필요로 하는 모든 기술과 정보, 지식을 입체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농촌현장지원단을 종합컨설팅 창구로 확대하고 민간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드림컨설팅단’ 구성 및 다양한 농업관련 기관들과의 협력체계를 구축키로 했다. 이를 위해 농협(유통, 가공), 농어촌공사(기반구축, 도농교류), 농수산물유통공사(수출정보), 중소기업청(농업창업 지원) 등과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육성할 농업경영체에게는 진단 결과에 따른 맞춤형 기술과 경영 컨설팅, 관련교육 등을 지원해 전문 경영역량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매년 농가소득 10% 향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학동 농진청 농촌지원국장은 “10인 10색에서 1인 10색으로 다양함을 찾는 소비트렌드의 변화는 작은 농업의 유리성을 더 크게 하고 있다”면서 “기존의 생산기술 중심의 지도에서 벗어나 마케팅, 디자인, 서비스 등 다양한 영역으로 지원을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