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수산식품부는 지난달 24일 ‘제1차 농림수산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2010~2014년)’이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운영위원회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이 계획에 따르면 지식기반형 일류 농림수산식품산업을 육성한다는 비전 아래 6대 추진전략 및 7대 산업(20대 세부산업)이 마련됐다. 6대 핵심 추진전략으로는 ▲R&D정책 종합․조정 체계 강화 ▲수요자 중심의 R&D 기획․관리 및 성과평가 강화▲연구주체의 핵심역량 강화 ▲민간투자 및 기술이전․사업화 촉진 ▲지역 R&D 활성화 ▲생산현장 기술보급 체계 고도화 등이다. 특히 종합계획과 연차별 시행계획 수립 시 각 기술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농과위’가 정책방향의 수립․조정을 하는 중심체 역할을 수행하겠다는 계획이다. 또 7대 산업은 ▲생산시스템 ▲자원․환경․생태 기반 ▲생산․가공 ▲유통․식품 ▲바이오 ▲IBT 융합(정보기술+생명공학) ▲문화에 걸쳐 진행된다. 종자 집중투자···친환경농자재 개발 육성 향후 5년간 투자액 5조9000억원 중 순수 시험연구비가 3조3000억원이며 나머지는 인건비 및 건물 등 시설투자에 쓰인다. 특히 민간 투자 촉진책 마련으로 민간투자 규모를 3배이상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민간기업의 연구 활동 활성화를 위해 ‘선연구 후보상 지원제도’등을 도입할 예정이다. 계획대로 진행될 경우 민간 투자가 3조1000억원으로 농식품분야 R&D 투자규모는 약 9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가장 집중적인 투자가 이뤄지는 분야는 종자산업 분야로 6531억을 배정해 신기능성․환경내성 등 우수 품종을 육성․개발하고 유전자원 확보․관리 체계를 강화해 종자 강국이 된다는 목표다. 비료․농약 산업에는 약 1117억원이 투입돼 2.3배 정도 투자금액이 증가했다. 이를 통해 2014년까지 농약․화학비료 사용을 30% 감축하고 생물농약의 개발․등록 화학농약대비 2.5%(약 250개)까지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친환경 농자재 평가 및 표준화 기술 정비, 맞춤형 비료․농약, 미생물제제, 친환경 방제용 생물제․유인제․기피제 등의 개발을 집중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기후변화와 관련해 자원순환 활용이 강조됨에 따라 가축분뇨 퇴․액비 자원화, 오염원 제어를 통한 친환경 자재 생산 및 탄소배출권 거래․확보를 위한 탄소 계정 등에 2676억원이 배정됐다. ✔ 종자 - 신기능성․환경내성 등 우수 품종 육성 ✔ 비료․농약 - 생물농약 등 친환경 농자재 개발 육묘산업·첨단유리온실 등 지원 강화 가뭄․홍수 등의 자연재해를 사전에 예측해 안정적으로 농촌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수리시설기반 개선 및 농어촌 용수의 이용기술 개발 등에도 1339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재해․질병 방제 분야에는 작물․산림병해충 예찰 및 방제 기술 개발, 신종 인플루엔자 등 인수공통 전염병 진단 및 제어기술 등이 포함되며 총 2786억원을 투자한다. 또 고품질 농산물 생산 기술 개발, 식량작물 수확 후 관리․가공기술 개발 등에 1073억원, 원예․특용작물의 수확 후 관리․가공․포장 기술 개발, 육묘산업 공정화 등 첨단유리 온실 및 생산환경 조절시스템 개발에 1880억원이 투입돼 농산물의 부가가치 향상으로 농가 소득 보전이 가능토록 할 방침이다.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GAP, HACCP 등 사전예방 안전관리시스템을 강화하고 유해물질의 평가․검정 등에 2180억원, 전통식품․한식세계화에 1192억원이 배정돼 식품․유통 분야가 활성화될 전망이다. 바이오에너지 개발에는 1071억원으로 종전의 4.3배에 이르는 투자가 진행된다. 바이오매스 생산 기술, 바이오에너지 작물 개발, 바이오가스 생산기술 개발 등이 이뤄진다. 또 정보기술(IT)과 생명공학(BT)를 융합해 정밀농업과 농림축수산 우량유전자․질병저항․기능성물질 관련 유전자 분석 및 발굴에 2598억원을 배정했다. 산림자원 조성 및 생산을 위해 임도 설계․시공․유지 관리 기술, 산림갱신기법 체계화, 육림 및 산림 기능별 사업 등에는 707억원을 투입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그동안 기관별로 분산돼 추진하던 농식품 분야 R&D정책을 아우르는 첫 종합 정책”이라며 “R&D 투자 효율화를 지속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GAP․HACCP 등 사전예방 안전관리시스템 강화 ✔ 수리시설 기반 개선 등 농촌용수 안정적 공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