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생산자동화기계과에 따르면 이 기기는 야생동물이 감지된 경우에만 작동하고 전자센서는 적외선센서, 레이더센서, 열감지센서 등을 지형에 맞게 설치할 수 있다. 특히 전선 등은 땅속에 묻을 수 있어 기존에 사용하던 철재 펜스나 전기울타리에 비해 사람, 농기계의 출입이 편리하고 잡초 제거를 하지 않아도 된다. 퇴치에 사용되는 소리는 호랑이 울음소리 등 6종류가 있으며, 소리에 익숙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동 변환되도록 했다. 소리와 동시에 크세논램프에 의한 불빛이 발생해 퇴치효과도 높였다. 이영희 생산자동화기계과장은 “야생동물 퇴치장치는 농가에서 사용하던 퇴치법을 대폭 보완한 기기”라면서 “멧돼지, 고라니 등 야생동물에 의한 농작물 피해는 지난 2006년 216억원에 달하는 등 피해가 막대한 만큼 지난 9월 10일 충북 옥천 농가에서의 열린 현장평가회에서 나타난 개선점을 보완해 내년에 시범 보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