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과학기술 연구 개발 성과의 실용화를 촉진하기 위해 설립된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 9월 7일 공식 출범해 11일 창립식을 가졌다. 이날 창립식에는 김재수 농진청장, 유성엽 국회의원, 강성원 종자협회장, 최운홍 작물보호협회 전무 등 300여명의 농업관련 관계자들이 참가했다. 재단은 기획운영부, 기술마케팅부, 기술사업화부, 분석·검정부 등 4부 11팀 161명으로 운영되고 초대 이사장으로 전운성 강원대 교수가, 본부장으로 조은기 국립농업과학원장이 임명됐다.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의 사업은 ▲연구개발 성과 기술마케팅 ▲연구개발 성과 기술사업화 ▲종자·종묘 실증평가 및 보급촉진 ▲분석 검정 등 4개 영역으로 구분된다. 이 가운데 핵심 사업은 농진청을 비롯한 정부 연구기관이나 대학에서 개발한 농업분야 지적재산권의 거래 사업이다. 특허와 지적재산권을 위탁 관리하면서 산업화가 유망한 기술을 발굴하고 가치를 평가하는 동시에 산업체와의 기술 거래도 맡는다. 또 농진청이 육성한 신품종 종자나 종묘의 증식과 빠른 보급을 위한 창구 기능과 농자재와 토양, 수질, 농기계 등 농업 관련 기본적인 분석과 검정 서비스도 실시한다. 농식품 인증사업(GAP)과 수출사업화에도 나선다. 출범 맞춰 농진청 조직개편 진행 농진청은 실용화재단의 빠른 업무 안정을 위해 농진청 직원 120명을 전환 배치할 계획이다. 1차 직원 전환공모에서는 90명이 신청해 이 가운데 62명을 선발하고 8명 내외의 인력을 파견형식으로 충원해 재단은 70명의 인력으로 출범했다. 김재수 농진청장은 9월 7일 실용화재단 출범과 관련한 브리핑을 통해 “농진청으로부터의 인력전환에서 강제성은 전혀 없었다.”면서 “앞으로도 강제적으로 인력을 전환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청장은 또 실용화재단 출범에 맞춰 조직개편을 마무리하고 연구역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국장(부장)급 이상에 대해 전원, 22명으로부터 사표를 제출 받았다고 밝혔다. 그동안 연구성과와 업무추진실적, 외부평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사표수리, 보직해임, 경고 등의 필요한 조치를 취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한 후속인사는 3~4주가 소요될 것으로 보여 10월 초나 중순경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과장급에 대해서는 지난 8월 31일 전반기 업무평가를 토대로 하위 20%에 대해서는 경고조치를 취하고 하반기 평가결과에서 연속해 하위 10%에 포함될 경우 보직해임 등 인사 조치를 통한 성과책임과 조직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 강제 전환 없이 순차적 전환 공모 실시 √ 7일 출범 맞춰 농진청 국장(부장)급 전원 사표 제출 실용화재단이 공식적인 활동에 들어갔지만 빠른 시일 내에 자리매김을 위해서는 인력확보와 예산확보가 최우선 과제로 떠오를 전망이다. 농진청에서 50여명의 인력이 전환돼야 하고 기술거래 등의 외부 전문 인력 40여명 확보도 시급하다. 수익성의 추구보다는 공익을 실현하는 특수법인임에 따른 안정적인 재정확보 방안도 마련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