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프랑스, 유기농산물 경작지 확대

2%→6% 증가 목표, ㏊당 연 200유로 지원

뉴스관리자 기자  2009.09.01 16:56:02

기사프린트

유럽 최대의 농업 생산 및 수출국인 프랑스는 유기농산물 수요 급증으로 수입이 증가하자 유기농산물 경작지 확장에 적극 나서고 있다.

특히 유기농산물 공급 부족난을 해결하기 위해 EU 및 자국의 지원제도를 이용해 농경지의 일부를 유기농산물 경작에 전환하는 목표를 설정하는 등 대책 강구에 나서고 있다.

KOTRA 프랑스 파리비즈니스센터에 따르면 프랑스의 유기농산물 경작면적은 2005년 말 기준 56만㏊ 전체 경작면적의 2%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 2년 동안 지속적으로 급증하는 유기농산물 수요를 충당하기에 현저히 부족해 해마다 수요의 80%에 달하는 몫을 수입에 의존해야 하는 실정이다.

프랑스 정부는 유기농산물 공급난을 근원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유기농산물 경작지를 전국 농토의 2%에서 6%로 3배 확장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지원에 나서고 있다.

프랑스 유기농산물진흥기관(AGENCE BIO)은 이에 대해 유기농산물 경작지가 확장돼도 여전히 크게 부족한 면적이며, EU의 농산물 경작지의 1.6%로도 프랑스의 유기농산물 수요를 충족시키기가 부족할 정도라고 밝히고 있다.

EU·프랑스 유기농산물 전환 보조금 5배 증가
EU 및 프랑스 정부는 유기농산물 수요를 최대한 자체적으로 충당하기 위해 일반농지를 유기농산물 경작지로 전환하는 농가에 보조금을 지원해주고 있다. 특히 최근 유기농산물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지원규모를 매년 2배 이상씩 증가하고 있다.

프랑스 농수산부 발표에 따르면 2009년도 EU 및 프랑스 정부의 보조금 규모는 5800만 유로로 전년 대비 2.5배, 2007년 대비 5배 증가했다. 유기농산물 경작지로 전환한 프랑스 농가는 이 한도 내에서 ㏊당 연 200유로에 해당하는 지원금을 받고 있다.

특히 올해 2009년 6만3000㏊(전년 대비 5배 증가)을 유기농산물 경작지로 환원시킨 프랑스 농가는 총 1260만 유로의 지원을 받았다.

프랑스 정부는 또 현재 서부 및 남부지방 일부 농경지에 집중된 유기농산물 경작지를 전국 주요도시 인근으로 확산할 방침이다. 이는 생산지와 소비지의 거리가 멀어 육로운송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분출량을 대폭 감소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실제 프랑스는 환경보호주의자와 소비자보호조합 등으로부터 육로로 운송되는 자국산 유기농산물이 선박으로 운송되는 수입산 유기농산물보다 이산화탄소를 더 많이 분출해 환경공해의 요인이 되고 있다는 비난을 받아왔다.

철로운송은 공해면에서는 유리하나 인도기간과 운송비용 면에서 비경제적이어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내수로를 통한 운송은 경제성 및 친환경성 면에서 가장 적합하나 전국을 커버하는 데에 한계가 있어 운하가 개발될 때까지 그 활용도가 미흡한 실정이다.

유기농산물 시장규모 1.3%·수입의존 크게 높아
파리비즈니스센터가 Planetoscope 자료를 토대로 산출한 프랑스의 유기농산물 시장규모는 16억5000만 유로이며, 이는 프랑스 농산물시장(1260억 유로)의 1.3%에 달한다. 이 같은 규모는 2008년도 프랑스의 유기농 과일 및 야채 시장규모(2억6400만 유로) 및 전체 유기농산물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16%)을 감안해 산출한 결과다.

프랑스 유기농산물진흥기관이 최근 집계한 주요 품목별 프랑스 유기농산물 시장 비중은 향신료 18%, 과일 및 채소 17%, 우유 및 유제품 15%, 빵 및 밀가루 13%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포도주 10%, 계란 7%, 우∙마∙돈육 6%, 가금류 3%, 맞춤요리 3%, 냉동제품 1%, 햄류 1%, 수산물·게맛살 1% 및 기타 4% 순으로 나타났다.

파리비즈니스센터는 이와 관련 프랑스의 유기농산물 시장이 최근 들어 급증함에 따라 수입의존도가 크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 한국 관련 업계들의 대 프랑스 진출에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센터는 특히 프랑스 유기농산물 소비자를 분석한 자료를 통해 사회적 지위가 높을수록, 연령이 많을수록, 재산이 많을수록 유기농산물 소비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나 가격이 비교적 높음에도 유기농산물 시장이 급증하는 것으로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