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쇠고기의 시장 점유율이 쇠고기 수입 자유화 이후 9년 만에 처음으로 50%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태평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은 지난달 22일 미국산 쇠고기 수입이 재개된 지 1년을 맞아 기자간담회를 열고 6월 말 기준 한우와 육우 등 국내산 쇠고기의 시장 점유율이 49.9%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 기록은 국산 쇠고기의 시장 점유율이 52.7%를 기록했던 2000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지난 2001년 쇠고기 수입 완전 자유화 이후 하락을 거듭해 2003년에는 쇠고기 자급률이 36.3%까지 하락했다. 이후 2004년 44.2%, 2005년 48.1%, 2006년 47.9%, 2007년 46.3%, 2008년 47.6% 등으로 등락을 반복하던 국산 쇠고기 점유율은 올해 상반기 9년 만에 50% 수준을 회복했다. 장 장관은 “호주산 대비 국산 쇠고기가 평균 3배 정도 비싸지만 이를 2배 정도로 해주면 시장 점유율 60%가 가능할 것”이라며 “유통 뿐 아니라 생산 비용도 줄여 쇠고기 가격에서 30% 정도 인하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농식품부는 이를 위해 시·군 지역별로 지역 축협이나 한우협회, 한우조합 등을 통합해 한우 농가들의 협업체인 ‘한우사업단’을 연말까지 140곳 구성한다는 계획이다. 사업단은 혈통 등록, 번식·발육 성적 관리, 사료 공동생산·구매, 공동출하 등 생산성 향상, 경영비 절감을 맡게 된다. 특히 이들 사업단에서는 한우를 공급받아 전문적으로 도축·가공·배송을 하는 전문 가공유통업체(일명 패커)도 육성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