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농업개발을 성공하기 위해서는 농업생산을 뒷받침하는 농자재와 유통 등의 농산업이 함께 진출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또 국제경쟁력이 있는 농산물 생산 가능지역 선정과 정보와 경험이 부족한 민간업체를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정부차원의 지원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농촌진흥청과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가 지난 13일 서울 양재동 소재 aT센터에서 공동 개최한 ‘한국농업의 글로벌화 전략’ 심포지엄에서 기조강연에 나선 한국농업경영포럼의 성진근 이사장(충북대 명예교수)은 ‘해외농업개발의 성공조건과 전략’에 대해 이같이 강조했다. 주제발표에 나선 농업선진화위원회 박범준 위원은 효율적인 시스템과 인적자원을 근본으로 하는 ‘한국농업의 글로벌 전략 모형’을 제시하고 “‘국제농업협력센터’ 설립과 ‘글로벌농업위원회’ 구성, ‘유레카 21 KOREA’ 프로젝트 등을 추진할 것”을 제안했다. 국제농업연구자문단의 Ren Wang 사무총장은 특별강연을 통해 “세계 경제위기 이후 급격히 식량 문제가 악화돼 지구상에는 10억 이상의 인구가 기아에 허덕이고 있다”면서 “지구촌 식량난 해소를 위해 농진청의 성공모델을 적극 도입해 전 세계 농업연구기관이 공동 협력하는 체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심포지엄에는 농민단체, 대학교수 및 농식품부와 관련 산업체 등에서 300명이 넘게 참석해 해외농업의 글로벌 전략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