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생활공감형 녹색기술로 시작하는 ‘녹색’ 바람

농진청 4월 30일~5월 2일 ‘생활공감···대전’ 개최

뉴스관리자 기자  2009.04.02 11:56:25

기사프린트

 
- 농진청은 지난달 30일 ‘녹색기술자문단’을 출범하고 1차 자문위원회를 개최했다.
MB정부의 정책테마 ‘저탄소 녹색성장’. 각 부처와 기관마다 정책개념과 슬로건으로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수식어를 애용하고 있다. 4월 임시국회에서 처리될 주요 법안 가운데 하나도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제정)’이다. 전문가들은 녹색성장의 중요한 축으로 농업과 농촌을 꼽고 있다.

이미 종자와 비료 등 친환경농자재 생산업체들은 증권가에서 녹색성장 테마주로 각광받고 있다. 국민들도 저탄소 녹색성장의 이미지로 농업과 산림을 자연스럽게 떠올리고 있다.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은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시장에 대비하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허용총량을 설정하고 배출허용량을 거래하는 ‘총량제한 배출권 거래제’ 등을 실시하는 것이 핵심이다. 특히 에너지 수요관리 및 안정적 확보대책 등을 포함한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과 ‘에너지기본계획’을 수립·시행하도록 했다.

농림수산식품부와 농촌진흥청, 산림청 등도 친환경농업의 확대와 바이오매스, 신재생에너지등 다양한 분야에서 저탄소 녹색성장에 발을 맞추고 있다. 특히 농진청은 김재수 청장 부임이후 ‘생활공감형 녹색기술’ 표방하면서 ‘녹색’의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그 첫 번째는 대국민 대상의 녹색기술 발굴 공모다. 지난달 27일까지 농기계, 신소재 개발 등 8개 분야별 성과중심의 ‘생활공감형 녹색기술’ 발굴을 공모해 주목을 받았다.

어디든 달려가는 ‘녹색기술 현장지원단’
농진청은 또 국내 최고 농업기술전문가들이 직접 농업현장에서 작물의 병해충과 토양, 생리장해 등을 진단하고 바로 처방해주는 ‘녹색기술 현장지원단’을 구성했다. 농진청은 지난달 16일 충남 부여군 홍산면 딸기재배 현장에서 발대식과 첫 번째 컨설팅을 갖고 연중 운영에 들어갔다.

농진청은 산도측정기, 토양염도측정기, 당도계, 현미경 등 분석장비 들이 실린 ‘녹색기술 현장지원단’ 전용차량 2대를 확보하고 농업인들이 부르면 전국 어디든지 달려가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특히 매주 1회 청·차장을 비
 
롯해 청의 간부들도 현장지원단 출장지역에 같이 나가 농업인의 애로사항을 듣고 기술수요도 파악한다는 방침이다.

문화계 등 광범위 ‘녹색기술자문단’ 출범
농진청은 지난달 31일 사회 각 분야의 다양한 시각을 녹색기술 개발에 반영하기 위해 학계와 산업계, 문화계와 언론계 등 200여명 넘는 전문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녹색기술자문단’을 출범하고 1차 자문위원회를 농진청에서 개최했다.

김재수 청장은 이날 “우리 농업과 농촌은 저탄소 녹색성장의 핵심 축”이라며 “농업 자원과 첨단 소재 융합기술 개발을 통해 모든 국민에게 수혜가 돌아가는 농업이 될 수 있도록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지혜를 모아줄 것”을 당부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우리농업의 미래를 보여주는 다양한 녹색기술 개발계획들이 보고됐으며, 6개 분과로 이뤄진 자문위원회에서는 다양한 아이디어가 제시됐다.

녹색기술 개발 성과 전시·홍보 강화
농진청은 녹색기술에 대한 인식을 국민 전반에 확산시키고 저탄소 녹색성장의 녹색기술 개발 성과를 전시·홍보코자 4월 30일부터 5월 2일까지 ‘제 1회 생활공감 녹색기술 대전’을 개최한다.

생활공감형 녹색기술이란 저탄소 녹색성장시대를 맞아 농업·농촌이 지닌 가치를 국민생활과 연결해 국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일컫는다. 전통 농업기술·식품, 농업인 부담경감, 농촌자원 소득화, 농촌환경 개선 등이 이 기술에 포함된다.

농업인, 농업관련 기관·단체 및 소비자 등 2000여명이 참석 예정인 이번 행사에서는 ‘녹색기술 비전 선포식’과 ‘푸른농촌 희망찾기 운동선포식’이 열릴 계획이다. 또 녹색기술 및 경연대회에서 선발된 녹색기술 전시, 우수기술 요약 발표 및 대상 사례발표, 녹색기술 연시 및 체험 이벤트, 농업인단체의 먹을거리와 농산물 판매도 이뤄진다.

농진청은 이번 녹색기술대전을 위해 류갑희 차장을 단장으로 하는 행사추진단과 8개 실무팀을 구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