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사장 류갑희, 이하 재단)은 침체된 국내 농산업분야 수출확대를 위해 새롭게 추진한 “우수 농업기술·품종·제품의 패키지 수출사업”(이하 패키지 수출사업)을 통해 금년도 약 900억원의 수출성과를 낼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패키지 수출사업은 국가마다 기후, 토양 등 작물재배 환경이 국내와 상이함에 따라 발생하는 어려움을 “품종-농자재-농기계-재배시스템”을 연계해 패키지화하여 진입국의 현지 적응성 시험인 “해외 테스트베드” 운영을 통한 실증테스트를 거쳐 수출하는 새로운 개념의 수출 전략으로, 현재 단순 농식품과 농산물 위주의 농업수출에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사업추진 프로세스>
| ⇗ 협약・운영 | 해외 시범포 | ⇘ 성과검증 | 수출계약 (기술이전) |
농업기술 실용화재단 | | ⇧ 제품투입 및 검증 | | |
| 선발・지원 ⇘ | 국내 농산업체 | 제품등록 ⇗ |
올해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 등 3개 국가에서 국내 14개社의 친환경비료․농약 등의 농기자재 21개 제품을 약 46㏊의 농지에 투입해 검증하여, 현지에서 성능을 인정받은 제품에 대해 총 340억원의 수출 및 수출계약을 체결하였다.
재단은 해외 테스트베드 사업을 확대하기 위해 내년에는 2개국 5개소에 해외 테스트베드를 설치하여 약 60개社 75개 제품을 투입, 1000억원 수출을 목표로 사업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또한, 재단은 거점국가별 전문 전시회 및 매칭 상담회 참가, 해외 온/오프라인 판로개척 지원, 국내 우수 품종의 해외진출 지원 등 다양한 지원사업을 통해 농산업분야 수출확대를 지원하고 있다.
올해에는 인도・중국・베트남・아랍에미리트・말레이시아 등 5개 국가에 53개 농산업체의 농기자재 제품의 박람회 참가를 지원해 바이어 매칭상담회 등을 통해 해외 신규시장을 개척하였고, 이 사업을 통해 약 504억원의 수출성과를 달성한 바 있다.
실용화재단은 품종 수출을 위해 사과・딸기・국화・참다래 등의 품종을 중국・미국・프랑스・베트남 등 16개국에 현지 적응성 시험재배를 추진 중에 있으며, 이 사업은 2017년도에는 해외 테스트베드 사업과 연계하여 지속적으로 확대·추진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