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청년의 꿈이 실현되는 활력 넘치는 농촌 만든다

귀농귀촌 인구 50만, 농촌인구 증가 시대

뉴스관리자 기자  2016.11.30 11:13:29

기사프린트

귀농귀촌 인구가 50만을 돌파, 농촌 인구 증가에 큰 몫을 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5년 단위(2017~2021년) 귀농·귀촌 종합계획을 수립·시행, “청년의 꿈이 실현되는 활력 넘치는 농촌” 구현을 목표로 청년층의 농업 창업을 촉진하고 귀농 귀촌인의 안정적인 정착을 뒷받침 한다고 밝혔다.


귀농귀촌 인구증가, 더 탄탄한 지원한다
이번 종합계획은 금년 4월부터 10월까지 실시한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각계 전문가 및 현장의 다양한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마련됐다. 농촌인구는 1975년 1791만명→2000년 938만1000명→2005년 876만4000명→2010년 875만8000명→2015년 939만2000명으로 전년에 비해 7.3% 증가했다.


농식품부는 2008년 외환위기 이후 크게 늘어난 귀농·귀촌인이 농촌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2009년, 2010년 두 차례에 걸쳐 귀농·귀촌 지원 대책을 수립하고 추진한 바 있다.
그 결과 귀농·귀촌 지원 법률 제정 및 단계별 지원 프로그램 도입 등 귀농·귀촌 지원을 위한 기본 틀을 마련하였으나, 청년 후계 인력 유입과 귀농 귀촌인의 안정적인 소득 창출 지원 및 지역민과의 융화 등에 있어 다소 미흡한 점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금년에 처음으로 실시한 ‘귀농귀촌 실태조사(2016.4~10.)’ 결과를 보면, 귀농·귀촌인은 초기에 영농기술과 일자리 부족, 주거 부족 등에 특히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식품부는 귀농귀촌 실태조사에서 나타난 주요 문제점을 개선하고, 특히 청년층의 농업 창업 지원, 일자리·주거 등 정착지원  및 귀농귀촌 저변확대에 중점을 두고 종합계획을 수립하였다.
먼저, 청년층의 농업 창업을 중점 지원하기 위해 현장의 선도 농가·우수법인 등을 ‘청년 창농 교육농장’으로 지정하여 신규 창농을 희망하는 청년을 대상으로 현장 밀착형 기술·경영교육과 함께 농산물 유통·가공, 지역민과의 교류 등을 도제식으로 집중 교육한다.
둘째, 귀농·귀촌교육을 수요자 중심으로 개편·내실화하여 교육의 품질 및 만족도 제고를 통해 정부3.0서비스를 제공한다. 교육기관 간 교육수준 편차 해소를 위해 귀농·귀촌 교육 표준 모델을 개발하고, 유망작목·재배기술 등특정 분야 전문교육기관 지정, 귀농·귀촌 관심 정책고객(대학생, 전역 예정 군인, 대기업 퇴직자 등) 맞춤형 교육으로 정부 3.0서비스 제공 및 온라인 교육을 확대한다.
셋째, 귀농초기 급격한 소득감소로 인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일자리 정보 제공 및 주거 지원을 강화한다. 시·군 귀농지원센터(50개)를 활용해 ‘일자리 연계 플랫폼’을 구축하여 귀농·귀촌인과 일자리 수요를 연계하여 추가 소득원 확보 지원한다. 귀농인의 집(2015년 70개소) 시 조성 확대, 귀농·귀촌 주택단지(30~60호) 시범사업 실시(LH), 주택 신축·구입 자금 지원한도 단계적 상향 등 주거지원 강화도 실시한다.
넷째, 귀농 귀촌 관련 다양한 정보제공 및 경험을 통해 귀농 관심층을 폭넓은 연령·직업군으로 확대한다. 지역별 농지·주택·교육일정·품목별 멘토 등 귀농·귀촌 관련 정보를 one-stop 제공하는 통합정보제공 시스템을 구축한다.
또한 취·창업 연계형(농업법인 일자리 상담 등) 귀농·귀촌 박람회 개최 및 대학생 농촌교류 활성화로 젊은 층의 관심과 참여를 제고한다.
다섯째, 귀농·귀촌인과 지역주민 간 갈등 방지 및 지역 공동체의 활력 증진을 위해 귀농·귀촌인과 지역주민의 화합·융화를 촉진한다. 이를 위해 귀농·귀촌인 및 지역주민 대상 융화 교육, 지역사회 모임 활성화(벼룩시장, 마을행사 등) 상생협력 우수사례를 발굴·확산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귀농귀촌 종합계획을 통해 향후 5년간 청년(39세 이하) 귀농 창업 1만 가구를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귀농 초기 소득 문제를 완화해 귀농 5년차 가구 소득을 농가 평균 소득의 90%까지 향상시키며, 귀농귀촌인과 지역주민과의 상생 협력으로 농촌 활력도 증대해 나가겠다는 것.
농식품부는 “금번 대책은 과거 도시민 농촌 유치 등 양적 확대 정책에서 청년층의 농촌 유입과 안정적 정착 지원위주의 질적 정책으로 귀농귀촌 정책의 패러다임을 전환한다는 의미가 있다”며 “2017년 1/4분기 까지 세부계획을 마련하여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