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온기 급증하는 ‘꿀벌응애’, 집중 방제 필수

2023.08.16 07:44:27

꿀벌 월동 폐사 재발 방지책은 응애 방제가 최선
방제 효과 높이려면, 천연·합성 약제 함께 사용
벌통 내외부 온도상승 막고, 대용화분 먹이로 꿀벌 유충 활력 높여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꿀벌의 정상적인 발육과 활동을 가해하는 꿀벌응애를 제때 방제해 확산을 차단할 수 있도록 집중 방제작업을 펼치는 등 양봉농가의 각별한 관리를 당부했다.

 

응애 밀도 점검과 방제

꿀벌응애 발생 밀도 주기적 점검=8월은 꿀벌응애 발생 밀도가 가장 높은 시기이므로 ①수벌(수컷 꿀벌) 방 내부검사(내검) ②철망 바닥법 ③가루 설탕 활용법을 활용해 응애 발생 정도를 점검한다.

 

①수벌 방 내검=수벌 방을 빼서 끌개나 핀셋으로 유충에 기생하는 응애를 확인할 수 있다.

 

▲끌개* 활용

▲핀셋 활용

* 벌집틀에 붙은 양봉 부산물(프로폴리스)을 떼어낼 때 사용하는 칼

 

②철망 바닥법=벌통 하단에 별도로 철망을 설치한다. 꿀벌이 몸단장(그루밍)을 하거나 응애가 이동할 때 자연스럽게 바닥으로 떨어진 응애를 확인할 수 있다.

 

③가루 설탕 활용법=플라스틱 통(500ml)에 가루 설탕과 꿀벌 100여 마리를 넣고 10~15초간 상하좌우로 가볍게 흔들어주면 꿀벌 몸통에 붙어 있는 응애가 분리돼 확인할 수 있다.

 

응애 방제, 천연·합성 약제의 교차사용 권장=2022~2023년 발생한 꿀벌 폐사는 같은 성분(플루바리네이트)의 꿀벌응애 방제약품을 수년에 걸쳐 반복 사용하면서 방제제에 내성이 생긴 응애가 확산했고, 방제제의 표준 사용법 미준수 등으로 초래됐다.

 

응애 방제에는 개미산, 티몰 등 성분이 들어있는 천연 약제를 우선 사용하고 아미트라즈, 쿠마포스 등 성분이 들어있는 합성 약제를 차후 수단으로 사용하면 내성과 약제 잔류 문제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기존 벌무리(봉군)와 번식을 위해 나눠놓은 벌무리(분봉군)도 철저히 방제해 응애 개체 수를 줄이고, 월동 폐사로 이어지는 것을 미리 막는다.

 

벌통 사양관리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 벌통 설치=벌통은 직사광선을 피해서 나무 아래나 비가림 시설, 그늘막으로 옮겨 내부 온도가 오르지 않도록 한다.

 

신선한 물을 수시로 분사해 벌통 온도 떨어뜨려=벌통 내부 온도가 35도 이상 오르면 여왕벌은 산란을 중단한다. 또한 어린 일벌은 벌통 내부 온도를 낮추고, 습도를 조절하는 데 지나치게 많은 힘을 소모해 유충 관리가 힘들고 수명도 줄어든다.

 

꿀벌 강건성 확보

깨끗하고 시원한 물 급수 및 대용화분 급여=꿀벌이 깨끗한 물을 마실 수 있도록 벌들이 드나드는 문(소문)에 급수장치를 설치해 주기적으로 물을 보충한다. 또한 꿀벌 유충이 환경에 잘 적응하고, 내병성을 키울 수 있도록 대용화분(유충 단백질원)을 먹인다.

 

농촌진흥청 조은희 기술보급과장은 “관행적인 방법으로는 응애 방제 효과가 크지 않아 반복적인 꿀벌 피해가 우려된다”며, “꿀벌 농가에서는 등록된 약제 중 성분이 다른 약제를 교차사용하고, 과도한 약제살포는 피해 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명우 mwlee85@newsam.co.kr
< 저작권자 © 농기자재신문(주)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PC버전으로 보기

전화 : 02-782-0145/ 팩스 : 02-6442-0286 / E-mail : newsAM@newsAM.co.kr 주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22길 8 미소빌딩 4층 우) 06673 등록번호 : 서울, 아00569 등록연월일 : 2008.5.1 발행연월일 : 2008.6.18 발행인.편집인 : 박경숙 제호 : 뉴스에이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