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농업생산액 3.2% 감소한 52조 2,930억 원 전망

2022.01.26 12:57:55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전망 2022』 개최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홍상)은 1월 19일~20일 양일간 오전 10시부터 ‘농업·농촌, 새 희망을 보다’라는 주제로 ‘농업전망 2022’ 대회를 온라인으로 개최했다.

 

올해로 25회를 맞이하는 농업전망대회는 농업인은 물론 관련 산업계, 학계, 중앙과 지자체 농정 담당자들이 참여하여 한 해의 농정을 전망하고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농업 부문의 대표적인 행사이다.

 

2021년 농업생산액 7.8% 증가한 54조 420억원

농가소득 4.3% 증가한 4,697만원 추정

농업전망 2022의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2021년 농업생산액(추정) 전년 대비 7.8% 증가한 54조 420억 원이다. 농업 전반의 생산액 증가로 GDP 성장에 기여했으며 채소·과실 가격 상승으로 재배업 생산액은 전년 대비 2.7% 증가, 한육우·돼지·계란 가격 상승으로 축잠업 생산액은 15.3% 증가했다. 2021년 농가소득(추정)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4,697만원이며 공익직불 및 수급 조절 정책 등 정책효과와 농축산물 전반적인 가격 상승 등으로 농가 소득이 개선된 것으로 볼 수 있다.

 

2022년 농업생산액 전년 대비 3.2% 감소한 52조 2,930억 원

2022년 농업생산액 전년 대비 3.2% 감소한 52조 2,930억 원으로 전망했으며 이는 2020년 대비해서는 4.3% 증가, 중장기적으로는 연평균 0.7% 증가 전망한 것이다. 2022년 재배업 생산액은 전년 대비 0.6% 감소한 30조 3,760억 전망했다. 식량작물은 쌀 생산액의 변동이 크지 않아 전년과 비슷한 생산액 유지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과실은 사과, 포도 등 주요 품목의 생산성 회복과 가격 하락으로 3.7%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소는 전년도 생산액 증가의 기저효과로 2.1% 감소했다. 2022년 축잠업 생산액은 전년 대비 6.6% 감소한 21조 9,170억 원 전망했다. 한우 및 돼지는 도축량 증가로 가격이 하락하여 생산액 감소했으며 닭 및 계란은 생산량 회복에 따른 가격 하락으로 생산액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소득, 축산물 가격 하락에 따른

농업총수입 감소 및 농업경영비 증가로 감소 전망

2022년 농가소득은 전년 대비 0.6% 감소한 4,671만원 전망했다. 2022년 농업소득은 축산물 가격 하락에 따른 농업총수입 감소 및 농업경영비 증가로 전년 대비 6.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농외소득은 농업임금 상승 및 자본수입 확대로 3.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이전소득은 코로나19 관련 재난지원금 축소 등으로 전년 대비 0.3% 감소했으나 2022년 비경상소득은 코로나19 영향에서 회복하여 4.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농업교역조건 전년 대비 악화

농업구입가격지수는 상승하고, 농가판매가격지수는 하락

2022년 농업구입가격지수는 원자재비 상승으로 가축구입비를 제외한 전반적인 농업용품 가격이 상승하여 전년 대비 1.5%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 농가판매가격지수는 전년 대비 5.2% 하락할 전망이다. 곡물은 쌀 가격 하락 등의 영향으로 5.9% 하락하고, 청과물은 조미채소, 엽채류, 과실 가격이 하락하여 0.8% 하락할 전망이다. 전반적인 육류 생산량 증가에 따른 가격 하락 영향으로 13.3% 하락할 전망이다.

 

2022년 농업구입가격지수는 상승하고, 농가판매가격지수는 하락하여 농업교역조건지수는 전년 대비 6.6% 악화될 전망이다. 2022년 농가소득은 전년 대비 0.6% 감소, 2020년 대비 3.7% 증가한 4,671만 원으로 전망된다. 농업소득은 생산액의 감소로 전년 대비 6.9% 감소하고, 이전소득은 코로나19 관련 지원 금 규모 축소로 전년 대비 0.3% 감소할 전망이다. 농외소득은 농업임금 상승 및 자본수입 확대로 전년 대비 3.4% 증가하고, 비경상소득은 코로나19 충격의 영향에서 회복하여 전년 대비 4.2% 증가할 전망이다. 2022년 농가인구는 전년 대비 1.7% 감소한 224만 명, 농가호수는 1.9% 감소한 99.3만 호가 될 전망이다. 65세 이상 농가인구 비율은 43.9%로 전망되며, 농림어업취업자수는 0.3% 증가한 146만 명이 될 전망이다.

 

 



이명우 mwlee85@newsam.co.kr
< 저작권자 © 농기자재신문(주)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PC버전으로 보기

전화 : 02-782-0145/ 팩스 : 02-6442-0286 / E-mail : newsAM@newsAM.co.kr 주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22길 8 미소빌딩 4층 우) 06673 등록번호 : 서울, 아00569 등록연월일 : 2008.5.1 발행연월일 : 2008.6.18 발행인.편집인 : 박경숙 제호 : 뉴스에이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