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친환경축산 ‘가축건강 중시형 모델’ 로 진화돼야

축산환경시설기계협·학회 세미나, 이상락 교수 제기

뉴스관리자 기자  2008.12.18 17:20:37

기사프린트

 
친환경축산 표준모델 개발을 위해서는 가축 생산주체와 소비자 간의 합의가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또 농장동물의 복지를 고려한 사육체계가 강조되고 있음에 따라 환경보전, 자원순환중시형 모델에서 가축건강 중시형 모델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지난 11일 수원 농업연수원 대강당에서 농림수산식품부가 주최하고 한국축산환경시설기계협회와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가 공동 주관한‘친환경축산 발전방향’세미나에서 이상락 건국대 교수는 ‘친환경축산 표준모델 발전방향’ 을 통해 이같이 밝히고 “농가의 실천의지를 고양시킬 수 있는 교육·홍보 및 정책적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고 강조했다.

이상수 농림수산식품부 자원순환팀장은‘친환경축산 정책방향’발표에서 “최근 정부는 친환경축산을위해 가축분뇨처리 및 자연순환농업 추진, 조사료 생산 확대 등 정책 및 재정지원을 대폭 강화하고 있다” 면서 “친환경축산이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축산농가와농축협 관계자, 지자체 공무원들의 의지가 중요하다” 고 밝혔다.

종합토론에서는 친환경축산이 관 위주로 이뤄지다보니 축산농가들은 정확한 개념과 범위에 대해 혼란스러워 하고 있어 이에 대한 교육과 홍보가 시급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특히 무항생제 축산물 인증, HACCP, 환경친화축산농장, 친환경 안전축산물 직불제 등 친환경관련 정책에 대해 현장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