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토람은 농촌진흥청이 1964년 이후 40여년간 국책사업으로 확보한 전국 토양 데이터베이스를 종합 전산화해 개발한 실시간 인터넷 토양정보 서비스 시스템이다. 흙토람 웹사이트는 내 논·밭의 주소를 넣은 후 알고 싶은 토양 특성을 선택하면 전국 토양의 산도, 물빠짐, 유기물 함량, 자갈 함량 등과 같은 물리·화학적 특성 등의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다. 또 토양, 농업용수, 식생, 곤충, 미생물 등 국가 농업환경 자원정보에 대한 각각의‘GIS(Geographic InformationSystem;지리정보시스템) 주제도’ 와 29개 작물에 대한 ‘재배적지지도’는 축적도 1:5000의 세부 정밀 토양도로 제작돼 농업환경의 보전과 필지별 토양관리가 가능하다. 농진청은 2010년까지 60여가지 작물에 대해 재배적지 데이터를 확충하고 있다. 이와 함께 올해 가축분뇨 퇴비에 대한 시비처방시스템을 추가 개발해 흙토람에 99개 작물별로 최적화된 시비처 방을 제공함으로써 농업인을 위한 토양 및 양분관리 컨설팅도 제공하고 있다. 또 필지별 토양시료의 채취·분석 자료를 기반으로 알맞은 비료량 추천을 위해 발급됐던 500만점의 토양분석성적 및 토양관리 처방서도 일반인들이 열람할 수 있도록 했다. 현재 시·군농업기술센터에서는 안전농산물관리를 위해 농림수산식품부가 실시중인 친환경인증과 GAP인증시 제출하는 토양관리처방서 발급 업무에 흙토람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