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도 농림수산성이 올해 9월 전국 3144명에 대해 개별 면접 조사한 ‘식료·농업·농촌의 역할 여론조사’한 결과를 지난달 15일 발표했다. EU는 지난해 11~12월 2달간에 걸쳐 회원국 2만6730명을 대상으로 면접 조사한 ‘유럽, 농업 그리고 공동농업정책’을 지난 3월 발표했다. 농경연 동향분석실은 이들 발표 내용을 근거로 ‘농업·농촌에 관한 한국과 일본, EU 국민의식조사 결과’를 비교 분석했다. ◆국산품 선호도 일본 89%, 한국 38% 한·일·EU 소비자들의 국산과 수입산 선호도 조사에서는 한·일 소비자 모두 국산 농식품을 수입산보다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본 (89%)이 한국(38%)보다 국산품 선호도가 훨씬 높았다. 한국의 경우 가격에 상관없이 국산 농산물을 이용하겠다는 응답률이 38%로 수입산 19.4%보다 높았지만 어느 쪽이든 품질이 좋으면 구매하겠다는 비율이 41.9%에 달했다. 특히 수입과일 구매의사가 비교적 높고 수입쌀과 쇠고기 구매의사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EU는 수입 농식품에도 EU 품질 기준 적용을 희망했으며, 완전 자유화보다 일정 수준의 보호무역을 선호했다. 품질 및 안정성에 대한 높은 관심과 자국 농식품에 대한 신뢰가 반영됐다. |
농식품 구매기준 조사에서는 한국소비자는 품질과 원산지를, 일본 소비자는 안전성을 우선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채소·과일·수산물·외식의 경우 품질(맛)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곡물·육류는 원산지(국산여부)를 우선 고려하는 것으로 응답했다. 안전성에 대한 관심도 전반적으로 높았다. 일본은 국산 선호 소비자는 안전성을 최우선 고려(89.0%)하고 수입산 선호 소비자는 가격(80.0%)을 가장 중시했다. ◆한·일 모두 식량자급률 제고 필요성 인식 국내 식량 공급과 식량 자급률에 대한 의식 조사에서는 한·일 모두 식량 자급률 제고의 필요성을 인식했다. 한국 소비자들의 식량 자급률 제고가 필요하다는 의견은 2006년 59.5%에서 2008년 71.7%로 높아졌다. 일본은 현재 칼로리 기준 40%인 식량 자급률 수준이 낮다는 응답 비중이 79.1% 달했으며, 식량 자급률 제고가 필요하다는 의견은 2008년 무려 93.3%에 달했다. ◆日, 식량공급 안전·안심·안정 ‘3安’ 요구 농업·농촌의 기능에 대한 질문에 한국 도시민의 85.9%가 농업·농촌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일본은 농업·농촌의 주요 기능으로 안전한 식량의 안정적 공급을 꼽았다. 특히 일본은 농업 기능 중 식량 공급에 있어 안전, 안심, 안정의 ‘3安’에 대한 요구 외에도 환경 측면에 대한 고려도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농촌 기능에서도 식품 공급 기능을 강조한 응답 비중이 높았다. 환경측면의 기능과 삶의 공간을 제시한 비중도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日, 경제효율성과 보전기능 모두 중시 농업·농촌 정책 방향에 대한 의식 조사에서는 한국의 경우 농업인들은 “개방 후 농업 피해 대책”, 도시민은 “경쟁력 강화”를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농업인 응답자의 절반 가까이가 개방 확대에 따른 농업피해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반면, 도시민은 농업예산 지원의 우선순위가 농업 경쟁력 강화에 있다고 응답해 인식의 차이를 드러냈다. 일본은 경제적·공익적기능을 모두 충족해야 하며, 경제적 효율성 및 국토·환경보전기능을 모두 중시해야 한다는 응답이 다수를 차지했다. EU는 가격 안정, 신선·안전한 식품 생산, 농가소득 안정이 중요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또소비자 후생측면과 생산자 소득안정에 대한 우선순위가 높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