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분뇨 액비로 벼를 재배할 경우 경운 실시 여부여 따라 수확량에 큰 차이를 보이고 봄에 액비를 투입해야 수확량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액비를 사용할 경우 ha당 최고 117만원의 비료가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액비만을 사용할 경우 화학비료만 사용했을 때 보다 쌀의 경우 114%, 보리는 101%의 증수효과를 각각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사료용 옥수수의 경우도 질소 150%의 액비 시용시 ha당 1백69만6천원의 화학비료(ha당 질소200kg 기준) 절감효과를 거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이상복 연구관의‘가축분뇨 액비이용기술개발 연구사업’결과에 따른것으로 질소 150% 액비처리시 절감액은 ha당 87만3000원, 200% 처리시에는 무려 116만4000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논 1ha당 화학비료 투입량을 질소 110kg, 인산 70kg, 칼리 80kg으로 각각 기준한 것으로 화학비료가격의 경우 20kg당 요소는 2만700원, 용과린 1만1550원, 염화칼리는 1만9800원으로 환산했다. 특히 봄에 질소 150%의 액비를 시용할 때 쌀 수확량이 10a당 605그램으로 가장 많았으며 100% 시용시에도 577kg을 수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을에 200%를 시용했을 때 585kg, 150% 시용시엔 515kg에 각각 그쳐 상대적으로 봄에 액비를 투입하는 것이 쌀 수확량에 더 유리한 것으로 분석했다. |